미세먼지 문제가, 애초에 디젤차가 문제였다면 유로4/5 기준의 DPF(디젤미세입자필터)엔진이 법규화된 2006년 이전에는 이것보다 더 심했어야 하는게 정상. 디젤차가 지금보다 적지 않았냐고? 무슨소리. 지금보다 오히려 고배기량 디젤RV, SUV들이 넘쳐나던 시절이다. 지금이야 대다수 SUV들이 2.0L급 엔진을 달고 나오지만 10년 전만 해도 디젤엔진의 출력부족으로 어지간한 SUV들은 2.5L급 이상 엔진을 달고 나왔더랬지. 길거리에서 코란도, 싼타페 흔히 볼 수 있었던 시절이올시다. 게다가 대형버스, 트럭들은 배기량이 12L에서 15L, DPF조차도 없이 매연 뿜뿜...
그런데 그 당시에는 미세먼지 문제가 없었다.
오히려 민간발전사업자가 대규모로 영업하기 시작한, 또한 국제유가가 폭등하면서 중국이 석탄에너지를 대량으로 활용하기 시작한 2010년 전후부터 미세먼지 문제가 불거지기 시작했으니... 작금의 우리나라 미세먼지 문제는 디젤차 문제는 일단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심지어 대형버스 대형트럭조차 미세먼지 분출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DPF를 모두 달고 나오는 세상에... 어디 디젤차를 걸고 넘어져..... 차라리 질소산화물 배출문제를 걸고 넘어지면 이해를 하겠다.... 요즘 디젤차중에 검은 매연 뿜고 다니는 차가 몇이나 된다고.....-_-
애초에 디젤차가 미세먼지 발생원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0% 될까말까이고, 또한 디젤차의 수가 미세먼지가 문제시 되기 시작한 최근 수년간 갑자기 늘어난것도 아니며 오히려 최근 10년간 디젤차들은 디젤미세입자필터(dpf)를 애초에 설치하여 출고하는 상황인데 최근 수년간 갑자기 미세먼지 발생원으로 경유차가 지적되는게... 참 그 의도가 뻔히 보인다. (DPF는 디젤엔진의 배기가스에 섞여있는 미세한 파티클들을 고온으로 태워버리는 역할을 한다)
미세먼지가 문제되지 않았던 과거에는 디젤차들의 매연이 아예 걸러지지도 않고 나왔었는데 이제와서 미세먼지 주범이 경유차라니... 서민만 희생양 만드는 정부 정책에 강력히 반대하며, 최근 수년간 급격히 증가한 민간 발전사업자들과 대기업 사업장의 오염물질 배출현황을 연구조사하고 제재를 하는게 우선이라 본다.
'Ryan's 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근 구입한 기계식 키보드 간단 후기 #1. ABKO 해커 K660 (0) | 2017.11.28 |
---|---|
국민의당 - 비판 여론에 "지롤".... (0) | 2017.10.06 |
2016.02.15 (0) | 2016.02.15 |
니콘이 삼성 미러리스 기술을 도입한다? (0) | 2015.12.03 |
파리 테러 참사 - (0) | 2015.11.15 |